역사만화
[총 24편]-
안덕계곡
휘어져서 아름다운 "안덕계곡" 지명(역사문화유적): 임금내 ○ 위치 : 화순리 182번지 앞 일대 감산리 경계 ○ 유래 : 한 줄기로 흘러오던 물줄기가 이곳에서 두 줄기로 나누어지는데 이를 두고 이곡내(二曲川)라 했다. 세월이 흐르면서 변음되어 임금내가 되었다. 이곳에서 번내(犯川)가 시작된다고 볼 수 있다. (출처 : 안덕면지, 2006) ..
[2014-09-05 오후 5:22:52] -
황개천
안덕계곡의 종착지 "황개천" ○ 위치 : 화순리 610번지 일대,남제주화력발전소 동쪽 하천 일대 ○ 유래 : 원래 이곳은 포구였다. 1653년의 『탐라지』에는 大浦(한개)로, 18세기 후반에 발행된 『제주읍지』에는 抗浦(항개)로 표기되어 있다. 지명유래는 이 곳은 바닷물과 민물이 만나는 조간대여서 부근에 가끔 누런 물개가 나타났다 하여 ‘황개창’..
[2014-09-05 오후 5:32:07] -
외도 어린이공원
절물로 유명한 제주시 외도 제77호 어린이공원 이곳은 고려 충렬왕 때 수정사라는 아주 유명한 절이 있었는데 바로 그 수정사에서 흘러나오는 물, 즉 절에서 내려오는 물이라 해서 절물(寺水)이라고 하는 마을의 명칭이 유래된 곳이도 하다. (이 어린이 공원은 도로명 절물 3길에 위치함) 이 어린이 공원은 실제 지하에서 솟아나는 물을 보기좋..
[2014-09-11 오전 11:54:43] -
군산
창천리를 품은 오름, 군산 유래 ○ 창천리 564번지 일대 마을 앞에 있는 오름을 말하며 산이 지형지세가 마치 군막(軍幕)과 같다고 하여 군산(軍山)으로 불림 ○ 군산의 유래 - 제주도 서귀포시 안덕면 창천리에 전해오는 군산의 지명유래담이다. - 아득한 옛날에는 이 자리에 군산이 없었다. 지금의 창천리와 같은 큰 마을도 없었고 10여 호의 ..
[2014-09-11 오후 12:25:09] -
몰질
꼬닥꼬닥 걸어 고향을 떠났던 "몰질" ○ 위치 : 감산리 882번지 일대(대평리 조슨다리 절벽아래 도로) ○ 유래 : 고려조 말기 원(元)나라의 제주통치 당시 감산리 동동 네 쪽에 군마육성소(軍馬育成所)가 있었는데 공마(貢 馬)를 기르는 곳이라 하여 이 일대를 「공몰캐」라 했으며, 대평리 포구인 당캐와 이 군마육성소 사이에 물건을 운반하는 육..
[2014-09-05 오후 4:47:00] -
이미(李美)의 일화
충신 이미(李美)의 일화 고려 말, 삼절신으로 널리 알려진 이미는 이성계가 고려의 왕권을 멸하고 조선을 개국하자 모든 관직을 버리고 초야에 묻혀 살았다. 그 후, 10년이 지난 어느 날(태종 1년) 태조(이성계)의 왕위를 이어받은 태종이 이미를 중히 쓰고자 관직을 주며 불렀으나 이미는 부름을 거부하였다.이에 화가 난 태종이 이미를 당시 제주 향리로 ..
[2014-09-15 오후 2:12:29] -
조설대
조설대 □ 위 치 : 제주시 연미마을 제주시 오라2동 3135 □ 소 개 1904년 2월 ‘대한제국을 일본의 보호국으로 한다’는 굴욕적인 내용의 한일의정서가 강제적으로 체결되자, 익월 3월에 옛 북제주군청 정문 앞에 위치해 있던 문연서숙(서당)에서 유배 중이던 면암 최익현의 가르침을 받은 이응호 등 제주의 젊은 유림 12명은 구국 ..
[2014-09-05 오후 5:16:29] -
완도 청산도
만화로 보는 청산도 이야기 산과 바다, 하늘도 푸르다고 하여 ‘청산(靑山)’이라 이름하였던 슬로시티 청산도는 한때 신선이 살았다하여 선산(仙山) , 선원(仙源)으로 불리었으며 빼어난 자연경관으로 청산려수(靑山麗水)라 불리기도 하였다. 청산도에는 북방식 고인돌과 남방식 지석묘가 남아 있어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해 왔던 것으로 짐작할 수 있으나, ..
[2014-09-15 오후 2:17:39] -
김광종개척비
○ 위치 : 안덕계곡 하류 도채비빌레 위 ○ 유래 : 김광종(金光宗)이 관개농업을 할 목적으로 사재를 사들여 수리시설 것을 기념하기 위해 서기 1938년 5월 화순답회(和順畓會)에서 비를 건립한 데서 연유한 이름 ○ 비문의 내용 : (우측) 穿山引水 漢西開始 多費己財 以裕後世 산을 뚫고 물을 당겨 한라산 서쪽에 논을..
[2014-09-16 오후 6:23:01] -
대정향교
대정향교(제주도유형문화재 제4호) 향교는 지방백성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세운 국립교육기관이다. 대정향교는 조선 태종16년(1416)에 세워졌고, 효종4년(1653)에 지금의 자리로 옮겨졌다. 영조 48년(1772)에는 명륜당을, 헌종 원년(1834)에는 대성전을 지었다. 추사가 유배생활을 할 때 이곳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기도 했다고 전한다. 추사는..
[2014-09-17 오후 12:47:54]

서울 / 인천·경기 / 강원 / 충남 / 충북 / 전남 / 전북 / 영남(본부) / 제주 뉴스HOT
-
제주 친환경농산물 한마당 행사 열어
제주특별자치도는 18일 오전 11시 제주시민복지타운 내 시청사부지에서 ‘제주 친..
-
제주농업기술원, 맞춤형 기술지원 강화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원장 고상환)은 국내 육성 골드키위의 수출 확대를 위해..
-
제주도 RE100 캠핑 쿡 페스타 개최
제주특별자치도는 오는 18일부터 19일까지 제주시 동복·북촌풍력발전단지에서 ‘R..
-
제주도립미술관 2025 어린이 미술학..
제주특별자치도 도립미술관(관장 이종후)은 10월 25일(※ 토요일 오전반은 11..
-
제주도 공유재산 사용로 한시적 감면
제주특별자치도가 경기침체와 소비위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
제주숲 핫플 3곳 최종선정
제주특별자치도가 도민과 관광객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제주숲 핫플(JIF Hot..
-
제주도 사무관 및 연구 지도관 승진자..
제주특별자치도는 10일 오전 도청 탐라홀에서 사무관 및 연구·지도관 승진자 50..
-
2025년 제주 준모항 크루즈 체험단..
제주특별자치도는 「2025년 제주 준모항 육성 관광개발 및 홍보지원 사업」의 일..
-
제64회 탐라문화제 개막
제주의 대표 역사문화축제인 ‘제64회 탐라문화제’가 10일 개막해 14일까지 도..
-
제주방문 MZ세대 제주관광의 새로운 ..
제주를 방문하는 MZ세대(1980-2010년대 출생)는 로컬 경험과 환경 윤리를..
-
제주해양수산연구원 광어 수정란 공급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은 민간 차원의 광어 종자 생산용 수정란 수급이 어려..
-
제주도 579돌 한글날 경축식 개최
제주특별자치도는 9일 오전 10시 제주문예회관 대극장에서‘세상을 밝히는 빛, 한..
-
제주도 11월 대규모 관광개발사업 소..
제주도는 11월 ‘대규모 관광개발사업 소통실무협의회’를 출범하고 첫 회의를 개최..
-
제주도 올 하반기 수산종자 매입 방류..
제주특별자치도가 마을어장 자원조성과 어업인 소득증대를 위해 올 하반기 수산종자 ..
-
제주도 한글날 경축식 개최
제주특별자치도는 훈민정음 반포 579돌 한글날을 맞이해 오는 9일 오전 10시 ..
TV 특집 프로그램
기획기사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세종시의 상업 시설들이 줄줄이 폐업하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바로 앞에 위치한 4성급 B 호텔은 25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