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일본에 기습공격 당해
일본 수출규제로 삼성 악화 [권대정 기자 2019-07-24 오전 11:07:52 수요일] djk3545@empas.com
EUV 공정은 반도체 웨이퍼에 빛을 쏘는 기존 파장보다 더 세밀한 빛을 사용해 반도체를 만드는 것이다. 삼성전자는 EUV 공정을 활용한 7나노미터 반도체를 생산하며 파운드리 분야 1위인 대만의 TSMC를 빠르게 추격 중이다. 하지만 일본 규제로 EUV용 포토레지스트가 정상적으로 들어오지 않으면서 파운드리 사업에 빨간불이 켜진 것이다. 업계에서는 "일본이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사업을 노린 것"이라는 말이 나온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의 EUV 공정을 통한 파운드리 사업 성장은 한국 반도체의 미래"라며 "일본이 현재의 한국 반도체 산업이 아니라 미래의 한국 반도체를 겨냥한 셈"이라고 말했다.
◇메모리만 1위 삼성, 10년 뒤 반도체 전체 1등 목표

파운드리 세계 1위는 시장 점유율 48.1%를 차지한 대만의 TSMC다. 하지만 올 2분기 부진했다. 2분기 TSMC 매출은 2409억9900만대만달러(9조1410억원)로 작년 동기 대비 3.3%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를 미국 달러로 계산하면 환율 차이로 인해 오히려 매출이 1.4% 감소한 것으로 나온다. TSMC는 중국 화웨이와 미국 애플에서 매출의 30%를 올리는데, 미·중 무역 갈등이 발발하며 2분기 매출이 주춤했기 때문이다.
이 틈을 타서 삼성전자는 공격적으로 파운드리 사업 확장에 나서는 중이다.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은 19.1%다. 지난 4월 삼성전자는 2030년까지 133조원을 투자해 시스템 반도체 분야 1위를 달성하겠다는 '반도체 비전 2030'을 밝히며, 경기도 화성시 신규 EUV 생산 라인을 활용해 생산량을 늘리고 국내 신규 라인 투자도 지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올 들어 퀄컴, IBM, 엔비디아 등에서 7나노 반도체 수주 계약에도 성공했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D램·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반도체 1위인 삼성전자가 더 성장하기 위해 파운드리 확대 전략을 내놓은 것"이라며 "첨단 EUV 공정을 통한 파운드리로 기술력을 쌓으면 향후 차세대 D램 생산도 가능해지는 등 연쇄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했다.
◇일본의 규제로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 기습
삼성전자의 기세는 일본 때문에 꺾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일본은 지난 4일부터 불화수소,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포토레지스트 3가지 소재의 수출을 규제하기 시작했다. 자세히 보면, D램 생산에 필요한 포토레지스트는 정상적으로 들어오고 있고, 갤럭시 폴드 생산에 필요한 플루오린 폴리이미드도 세부 규정상 규제에 해당하지 않아 정상 수입 중이다. D램과 파운드리에 모두 쓰이는 일본산 고순도 불화수소는 공급이 중단됐지만, 국내 업체는 공급 다변화를 추진 중이다.

현재 삼성전자의 EUV용 포토레지스트 재고는 많아야 2~3개월치인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규제가 장기화하면 삼성전자는 EUV 공정을 통한 7나노 반도체를 생산할 수 없고, 결국 애써 확보한 퀄컴 등 글로벌 고객사를 다시 TSMC에 뺏길 가능성이 높다. 업계 관계자는 "일본이 소재 공급 중단으로 생산 차질이 빚어지면 곧바로 전 세계로부터 비난을 받을 수 있는 D램 대신, 삼성전자가 차세대 기술로 밀고 있는 EUV 파운드리를 정확히 노리고 들어왔다"고 말했다. 이종호 서울대 교수는 "현재 삼성전자는 TSMC와 미세 나노 기술 경쟁을 벌이고 있는데, EUV용 포토레지스트가 부족하면 기술 개발에도 지연이 생길 것이고 결국 미래 반도체 경쟁력도 잃을 수 있다"고 말했다.
[EUV가 뭐길래]
반도체를 만들 때 가장 중요한 요소는 회로의 선폭을 좁게 만드는 것이다. 선폭이 좁아질수록 한 장의 웨이퍼(반도체 재료)에서 더 많은 칩을 생산할 수 있다. 반도체 주(主)고객인 스마트폰이나 PC 제조사는 작은 칩을 쓰면 더 얇은 디자인을 만들 수 있다. 작은 만큼 전력 소비량도 적다. 반대로 같은 크기라면 처리 속도나 저장 용량을 훨씬 빠르거나 많게 할 수 있다.
현재 삼성전자와 대만 TSMC는 기술의 한계라는 회로 선폭 7나노(1나노미터는 10억분의 1m)의 반도체를 만들고 있다. 이때 핵심 기술이 바로 EUV(극자외선·Extra Ultra Violet)이다. 10나노 때까지만 해도 주로 '불화아르곤(ArF)'를 썼다. 이 소재는 빛의 파장이 193나노미터다. 193나노미터의 파장을 쏘면 중간에 렌즈가 다시 한 번 좁게 초점을 맞춰가면서 웨이퍼 위에 회로를 그리는 것이다. 통상 업계에선 불화아르곤의 파장으로는 10나노 제품이 한계라는 게 정설이었다. 대만 TSMC는 작년 말 이 불화아르곤으로 7나노 제품을 만들어 기술의 한계를 넘어섰다. 삼성전자가 곧바로 반격했다. 올해 초 빛의 파장이 13.5나노미터인 EUV로, 7나노 제품을 만든 것이다. 파운드리 2위인 삼성이 단숨에 TSMC를 위협한 것이다. EUV는 불화아르곤과 비교해 파장이 14분의 1이다. 그만큼 더 얇은 미세한 선을 그릴 수 있다. 그림을 그릴 때 얇은 붓으로 그리는 것과 같은 이치다. 삼성은 EUV 방식으로 내년에 5나노, 2021년엔 3나노 제품을 내놓을 계획이다 . TSMC는 한발 늦은 올 4월에야 EUV를 활용한 7나노 제품을 내놨다.
<저작권자 ⓒ 시사TV코리아 (http://sisatvkorea.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 / 인천·경기 / 강원 / 충남 / 충북 / 전남 / 전북 / 영남(본부) / 제주 뉴스HOT
-
정부, 추석 성수품 할인 지원 역대 ..
정부가 이번 추석, 성수품 할인 지원 역대 최대 규모인 900억 원을 투입한다...
-
제주도 대규모 재해예방사업 본격화
제주특별자치도가 이상기후로 인한 자연재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대규모 재해..
-
제주도 착한가격업소 신규업소 모집
제주특별자치도가 물가 안정에 기여하는 착한가격업소에 대한 지원을 대폭 확대하며 ..
-
제주도 스마트 농정 제주DA로 대통령..
제주특별자치도는 제42회 지역정보화 우수사례 발표대회에서 「데이터로 예측하고 실..
-
제주도 2026년도 주민참여예산사업 ..
제주특별자치도가 도민이 직접 제안하고 투표로 선정하는 2026년도 주민참여예산사..
-
제6회 서귀포은갈치축제 열려
제주 은갈치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어업인의 노고를 격려하기 위한 「제6회 서귀..
-
제주도 전국 최초 농업디지털센터 구축
제주특별자치도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농업 혁신으로 전국적인 주목을 받으며 행정..
-
제주도-신세계, 프리미엄 관광상품 개발
제주특별자치도가 국내 대표 유통기업인 ㈜신세계와 손잡고 제주 청정 농?수?축산물..
-
제주도-한국무역협회 '자카르타 국제 ..
제주특별자치도와 한국무역협회가 도내 소비재기업의 아세안 수출시장 개척을 지원하기..
-
제주한라도서관 '한잔의 커피, 한권의..
제주특별자치도 한라도서관(관장 양애옥)은 9월 한달동안「한 잔의 커피, 한 권의..
-
제주도 친환경농업 육성위원회 공식 촐범
제주특별자치도가 기후위기 시대에 대응하는 지속가능한 농업 육성을 위해 친환경농업..
-
제주도 해양수산연구원 혼합 어종 양식..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원장 강봉조)이 기후변화로 인한 고수온 피해를 줄이..
-
제주도 바르게살기운동 전국회원대회 열려
제주특별자치도는 바르게살기운동 전국회원대회가 11일 제주에서 열린다고 밝혔다. ..
-
제주도립미술관 마르크샤갈 기획전시
제주특별자치도 제주도립미술관(관장 이종후)이 현재 진행 중인《마르크 샤갈》과 《..
-
말 사육농가 대상 특별융자 사업 추진
코로나19 이후 말 판매 부진과 사료비·환율 상승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말..
TV 특집 프로그램
기획기사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세종시의 상업 시설들이 줄줄이 폐업하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바로 앞에 위치한 4성급 B 호텔은 25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