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소영 '이혼소송 공개메모…노태우 '은닉 재산 의혹 증폭'
'은닉 비자금 재단 기부 및 역외 탈세 등 통해 대물림되고 있다' 의혹 제기 [양동익 기자 2024-09-04 오후 1:20:41 수요일] a01024100247@gmail.com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이 '세기의 이혼' 소송에서 공개한 904억 원 메모로 인해 노태우 전 대통령 일가의 은닉 재산 의혹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904억 원이 추가 비자금으로 지목되면서, 평생 경제활동을 하지 않았던 어머니 김옥숙 여사가 100억 원대 자금을 운용한 정황이 드러나 논란이 커지고 있다. 일부에서는 이 자금이 역외 탈세 등으로 대물림되고 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이에 정치권과 재계에서는 노 전 대통령 일가에 대한 재수사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유투브 https://www.youtube.com/watch?v=1sI6ub_G8Vs&t=11s
4일 정치권과 재계에 따르면,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속 송석준 국민의힘 의원은 전날 열린 심우정 검찰총장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노 전 대통령 일가의 비자금 해외 은닉 여부와 관련한 국민적 의혹을 해소할 의지가 있는지 질의했다. 송 의원은 "2018년 문재인 정부에서 노 전 대통령 일가의 해외 은닉 재산 환수를 위한 합동조사단이 구성됐고, 2020년에는 검찰이 그 가족의 탈세 혐의를 조사한 동향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정청래 국회 법제사법위원장(더불어민주당)도 이혼 소송을 언급하며 "(노 전 대통령 일가의) 은닉된 비자금이 여전히 존재하는데, 검찰이 이를 추징하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또한 "범죄 수익 은닉에 대한 처벌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노 전 대통령은 1996년 내란 및 뇌물수수 혐의로 2628억 원의 추징금을 선고받고, 2013년 이를 완납했으나 최근 추가 비자금 의혹이 불거지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노소영 관장이 이혼 소송 2심에서 어머니 김옥숙 여사의 메모를 공개한 후, 904억 원이 추가 비자금으로 추정되며 논란이 커졌다. 이 메모에는 해당 자금이 SK에 흘러들어가 SK 성장의 마중물이 됐다는 내용이 담겨 있어, 노 관장은 이를 근거로 SK 주식에 대한 자신의 몫을 인정해달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 메모로 인해 노 전 대통령의 비자금이 여전히 존재하며, 재수사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노 관장의 주장을 받아들인 2심 재판부는 재산 분할 금액을 1조3808억 원으로 결정했으나, 이는 결과적으로 부정한 자금의 존재를 노 관장 스스로 밝힌 셈이 됐다. 해당 자금은 1995년 검찰 수사에서도 발견되지 않았던 돈이다.
최근 김옥숙 여사가 아들 노재헌 변호사가 운영하는 동아시아문화센터에 2016년부터 2021년까지 147억 원을 기부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재산 은닉 의혹이 더욱 커지고 있다. 김 여사가 경제활동을 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수백억 원의 자금을 운용한 점에서 은닉 자금이 존재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일각에서는 2021년 노 전 대통령 사망 전후로 은닉 비자금이 재단 기부 및 역외 탈세 등을 통해 대물림되고 있다는 의혹도 제기된다. 노재헌 변호사는 2016년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의 취재를 통해 영국령 버진아일랜드에 페이퍼컴퍼니 3곳을 설립한 것이 밝혀졌으며, 해외 부동산 소유 정황도 드러났다.
노 전 대통령 일가의 은닉 재산과 관련한 재수사 여부는 아직 불투명하다. 심우정 검찰총장 후보자는 재수사 가능성에 대해 "총장으로 취임한 후 판단하겠다"고 답했다. 강민수 국세청장은 지난 7월 인사청문회에서 "시효가 남아 있고 확인되면 탈세 조사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장경태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의 비자금을 몰수하는 법안을 발의할 예정이다. 김영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904억 원 메모를 근거로 국세청에 탈세 조사를 요청한 상태다?
<저작권자 ⓒ 시사TV코리아 (http://sisatvkorea.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 / 인천·경기 / 강원 / 충남 / 충북 / 전남 / 전북 / 영남(본부) / 제주 뉴스HOT
-
제주도립미술관 5월 5일 원데이클래스..
제주특별자치도 도립미술관(관장 이종후)이 어린이날을 맞아 5월 5일 원데이클래스..
-
제주도 소소뱅크와 금융서비스 시범적 ..
제주특별자치도는 소상공인의 금융부담 완화를 위해 소소뱅크 준비위원회와 협력해 혁..
-
제주도 2025 싱가포르 바이어 초청..
제주특별자치도는 싱가포르 제주사무소 개소 2주년을 맞아 ‘2025 싱가포르 바이..
-
제주도 2025년 청년마을 만들기 최..
제주특별자치도는 행정안전부 주관 2025년 청년마을 만들기 공모사업에 청년기업 ..
-
제주도 민간 다중이용시설 안전관리 강..
제주특별자치도는 오는 5월 2일 오후 2시 제주도 농어업인회관 대강당에서 ‘민간..
-
제주도 도내 수출업체 20개사 모집
제주특별자치도는 싱가포르 제주사무소 개소 2주년을 맞아 ‘2025 싱가포르 바이..
-
제주도 2026년 읍면동 지역균형발전..
제주특별자치도가 10억 원 규모의 ‘2026년 읍면동 지역균형발전사업’ 공모를 ..
-
2025 제주마 입목 문화축제 개막
제주의 전통 목축문화 ‘입목’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2025 제주마 입목 문화..
-
제주도 사무관 연구 지도관 승진 32..
제주특별자치도는 14일 사무관, 연구?지도관 승진 의결자 32명을 승진 임용하고..
-
제주도 '제주 도시숲 조성'에 참여할..
제주특별자치도는 탄소흡수원 확충과 기후위기 공동 대응을 위한 ‘제주 도시숲 조성..
-
제주도 세계유산본부 첫 민관협력 환경..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본부장 고종석)가 17일 수월봉 지질트레일 일원에서 ..
-
제주도 2025년 수산종자 매입방류 ..
제주특별자치도가 마을어장 자원조성과 어업인 소득증대를 위해 도내 86개 어촌계를..
-
2025년 제주바다 플로깅 실행계획 ..
제주특별자치도는 도민과 관광객, 환경단체 등이 함께 참여하는 ‘2025년 제주바..
-
제9기 제주특별자치도 사회협약위원회 ..
제주도민의 권익증진과 지역사회 갈등 해결을 위한 ‘제9기 제주특별자치도 사회협약..
-
제주도-중국과 자매결연 30주년 기념..
제주특별자치도가 중국 하이난성과의 자매결연 30주년을 기념하고 쓰촨성과의 새로운..
TV 특집 프로그램
기획기사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세종시의 상업 시설들이 줄줄이 폐업하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바로 앞에 위치한 4성급 B 호텔은 25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