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대선TV토론으로 결판?...토론의 달인 해리스 vs ‘예측불허’ 트럼프
민주당과 공화당 모두 오는 10일 예정된 TV 토론에 주목하고 있다. [양동익 기자 2024-09-03 오전 7:05:07 화요일] a01024100247@gmail.com
미국 민주당 대선 후보인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의 첫 TV 인터뷰에 대한 평가는 ‘결정적인 인상을 남기지 못한 채 무난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해리스 부통령이 상승세에 가속을 붙일 만한 성과를 보여주지 못하면서, 민주당과 공화당 모두 오는 10일 예정된 TV 토론에 주목하고 있다.
유투브 https://www.youtube.com/watch?v=8FhrdGFM85U
해리스 부통령은 지난달 29일(현지시간) CNN과의 인터뷰에서 자신감과 여유를 보였으나, 국경·이민정책과 같은 주요 쟁점에 대해서는 모호한 태도로 일관했다. 특히, 민주당에 호의적인 매체와의 인터뷰였던 만큼, 날카로운 질문도 나오지 않았다. 이에 대해 뉴욕타임스(NYT)는 “정치적 문제를 일으킬 발언도, 강렬한 인상을 남기지도 못했다”고 평가했으며, 의회 전문 매체 더힐은 “최근 상승세를 꺾을 만한 부분은 없었다”고 전했다.
그러나 10일 예정된 TV 토론은 전혀 다른 무대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해리스 부통령의 상대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으로, 그는 바이든 대통령과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 같은 베테랑 정치인들조차 당황하게 만드는 예측불허의 전략을 구사해왔다. 따라서 해리스 부통령이 과거 토론에서 사용했던 ‘치고 빠지기’ 전술이 트럼프 전 대통령에게 통할지 주목된다.
양측의 ‘정책 아킬레스건’도 드러나고 있다. 해리스 부통령은 셰일가스 추출 방식인 ‘프래킹’에 대한 입장을 바꾼 전력이 있으며, 트럼프 전 대통령은 낙태권 문제에서 오락가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친환경 정책을 주장하는 해리스 부통령은 2020년 조 바이든 대통령의 러닝메이트로 지명된 이후, ‘프래킹 금지’에서 ‘반대하지 않는다’로 입장을 변경했다. 해리스는 CNN 인터뷰에서 “내 가치관은 변한 적이 없다”고 주장했지만, 트럼프 전 대통령은 펜실베이니아주 유세에서 해리스를 ‘말을 바꾸는 사람’으로 조롱하며 비판했다.
반면, 트럼프 전 대통령은 낙태권 문제에서 전략적 모호성을 유지하려 했지만, 최근 오락가락하는 발언으로 당내에서도 당혹감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그는 올해 들어 “낙태 문제는 개별 주가 알아서 결정하도록 맡겨야 한다”며 한발 물러서는 듯한 입장을 보였으나, 플로리다주의 낙태법에 대한 입장은 계속해서 변동하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플로리다 주민투표에 찬성할 가능성을 시사했지만, 이후 낙태 반대 진영의 비판을 받자 헌법 개정에 반대한다고 입장을 번복했다.
한편, 해리스 부통령은 31일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토론 내내 마이크를 켜는 투명한 방식으로 토론하자”며 트럼프 전 대통령과의 ‘마이크 음소거’ 규칙을 놓고 기싸움을 이어갔다.
<저작권자 ⓒ 시사TV코리아 (http://sisatvkorea.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 / 인천·경기 / 강원 / 충남 / 충북 / 전남 / 전북 / 영남(본부) / 제주 뉴스HOT
-
제주도립미술관 5월 5일 원데이클래스..
제주특별자치도 도립미술관(관장 이종후)이 어린이날을 맞아 5월 5일 원데이클래스..
-
제주도 소소뱅크와 금융서비스 시범적 ..
제주특별자치도는 소상공인의 금융부담 완화를 위해 소소뱅크 준비위원회와 협력해 혁..
-
제주도 2025 싱가포르 바이어 초청..
제주특별자치도는 싱가포르 제주사무소 개소 2주년을 맞아 ‘2025 싱가포르 바이..
-
제주도 2025년 청년마을 만들기 최..
제주특별자치도는 행정안전부 주관 2025년 청년마을 만들기 공모사업에 청년기업 ..
-
제주도 민간 다중이용시설 안전관리 강..
제주특별자치도는 오는 5월 2일 오후 2시 제주도 농어업인회관 대강당에서 ‘민간..
-
제주도 도내 수출업체 20개사 모집
제주특별자치도는 싱가포르 제주사무소 개소 2주년을 맞아 ‘2025 싱가포르 바이..
-
제주도 2026년 읍면동 지역균형발전..
제주특별자치도가 10억 원 규모의 ‘2026년 읍면동 지역균형발전사업’ 공모를 ..
-
2025 제주마 입목 문화축제 개막
제주의 전통 목축문화 ‘입목’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2025 제주마 입목 문화..
-
제주도 사무관 연구 지도관 승진 32..
제주특별자치도는 14일 사무관, 연구?지도관 승진 의결자 32명을 승진 임용하고..
-
제주도 '제주 도시숲 조성'에 참여할..
제주특별자치도는 탄소흡수원 확충과 기후위기 공동 대응을 위한 ‘제주 도시숲 조성..
-
제주도 세계유산본부 첫 민관협력 환경..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본부장 고종석)가 17일 수월봉 지질트레일 일원에서 ..
-
제주도 2025년 수산종자 매입방류 ..
제주특별자치도가 마을어장 자원조성과 어업인 소득증대를 위해 도내 86개 어촌계를..
-
2025년 제주바다 플로깅 실행계획 ..
제주특별자치도는 도민과 관광객, 환경단체 등이 함께 참여하는 ‘2025년 제주바..
-
제9기 제주특별자치도 사회협약위원회 ..
제주도민의 권익증진과 지역사회 갈등 해결을 위한 ‘제9기 제주특별자치도 사회협약..
-
제주도-중국과 자매결연 30주년 기념..
제주특별자치도가 중국 하이난성과의 자매결연 30주년을 기념하고 쓰촨성과의 새로운..
TV 특집 프로그램
기획기사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세종시의 상업 시설들이 줄줄이 폐업하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바로 앞에 위치한 4성급 B 호텔은 25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