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울릉도와 독도 연안에서 제주해녀 물질시연 행사 개최
제주해녀 총 7명과 공무원 12명 참여, 울릉도와 독도의 해양문화 탐방, 해녀어업과 문화에 대해 울릉군 도동어촌계 해녀들 간 교류 시간가져 [추현주 기자 2024-09-06 오후 3:52:13 금요일] wiz2024@empas.com
제주특별자치도는 지난 4일부터 7일까지 3박 4일간 경북 울릉도와 독도 연안 어장에서 지역의 어업권과 영유권을 지키는데 큰 역할을 한 제주해녀들의 발자취를 되짚는 물질시연 행사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과거 독도에서 출향물질을 했던 제주해녀들의 염원을 실현하고, 제주해녀의 역사적 가치와 헌신을 재조명하기 위해 이번 행사를 기획했다.
행사에는 독도 출향물질 경험이 있는 해녀 2명을 포함해 총 7명의 제주해녀와 관계 공무원 등 12명이 참여했다.
참가자들은 독도 앞바다에서 과거 물질 방식을 그대로 재현하며 독도 어장의 해양생물 다양성 등 해양생태계를 확인하는 시연을 펼쳤다.
또한, 울릉도와 독도의 해양문화를 탐방하고 해녀어업과 문화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고자 제주해녀와 울릉군 도동어촌계 해녀들 간 교류의 시간도 가졌다.
행사에 앞서 제주와 경상북도는 지난 2022년 8월 ‘해양인문 교류 및 섬 생태 관광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해 독도와 해녀 교류전시 및 해양문화 교류행사 등을 펼치며 3년째 우호를 다져오고 있다.
제주해녀들은 일제강점기인 1935년 일본어민에 고용돼 울릉도와 독도어장까지 바깥물질을 나갔다. 1950~1970년대에는 독도 의용수비대와 울릉도 어민들의 요청으로 매년 수십 명씩 독도어장에서 미역과 전복 등을 채취하면서 대한민국 영토 독도의 영유권 강화에 기여한 숨은 주역이다.
제주해녀들은 마땅한 거처도 없이 물이 나오는 물골에서 생활하며 고된 물질을 이어갔으며, 독도 의용수비대와 독도 경비대의 경비 활동에 필요한 물품 운반, 식수 보급, 식량 조달 등을 도왔으며, 독도 시설물 건립에도 참여했다.
제주도는 이번 제주해녀 독도 물질시연 행사를 계기로 독도 수호 정신을 되새기고, 독도에 대한 대한민국의 주권을 국제사회에 알려 나갈 계획이다.
이번 행사에 참여한 해녀들은 “70년전 독도 어장을 부지런히 누볐던 선배 해녀들처럼 너무 벅차고 가슴이 뭉클했다”며, “우리땅 독도를 지키는데 제주 해녀들이 큰 보탬이 됐다는 사실이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정재철 제주도 해양수산국장은 “이번 독도 물질시연 행사를 통해 고향을 떠나 낯선 바다에서 물질을 했던 제주해녀들의 노고를 깊이 되새기며, 독도를 지켜낸 숨은 주역인 제주해녀들의 강인한 정신과 가치를 세계에 널리 알려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TV코리아 (http://sisatvkorea.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 / 인천·경기 / 강원 / 충남 / 충북 / 전남 / 전북 / 영남(본부) / 제주 뉴스HOT
-
제주도 정부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으로 ..
제주특별자치도가 정부의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으로 최종 지정됐다. 이번에 심..
-
제주-후쿠오카 노선 정기 운항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관광공사(사장 고승철), 제주특별자치도관광협회(회장 강동훈)..
-
2026년 제주지방 정가 "누가 뛰나..
2026년 제주지방 정가 "누가 뛰나" 제2편 - 정현철 더불어민주당 제주특별자..
-
제주도 불턱 2곳 복원
제주특별자치도가 자연재해로 훼손된 불턱 2곳을 복원한다. 제주도는 비양도 협재리..
-
제주도 해외 의료관광 국제 교류행사 ..
제주특별자치도가 꾸준히 늘어나는 외국인 환자 유치 성과에 맞춰 해외 의료관광 관..
-
2026년 청년어촌정착 지원사업 추진
제주특별자치도는 2026년도 창업 초기 청년어업인의 안정적인 어촌 정착을 지원하..
-
2025 제주청년정책공작소 개최
제주특별자치도가 지난 2일 더컨벤션제주에서 ‘2025 제주청년정책공작소'를 개최..
-
2026년 제주지방 정가 "누가 뛰나..
2026년 제주지방 정가 "누가 뛰나" 제1편 - 현경주 재경표선면민회 운영위원..
-
제주도-제주경제통상진흥원, 제주-칭다..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경제통상진흥원은 제주-칭다오 신규 항로 개설 이후 첫 현지 ..
-
한국-싱가포르 정상회담에서 제주산 한..
제주특별자치도가 국내 최초로 싱가포르 축산물(한우·돼지고기) 수출길을 열었다. ..
-
2025 생태계서비스지불제 성과평가 ..
제주특별자치도는 기후에너지환경부가 주관한 ‘2025년 생태계서비스지불제 성과평가..
-
국민의 힘 이정엽 제주도의회 의원, ..
국민의힘 이정엽 제주도의회 의원(대륜동)은 29일 서울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에..
-
제주도-제주도교육청 협력안건에 합의
제주특별자치도(도지사 오영훈)와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교육감 김광수)이 청소년 대..
-
제주도 싱가포르에서 2025 제주의 ..
제주특별자치도가 아세안 시장 공략을 위한 대규모 홍보 행사를 싱가포르에서 연다...
-
제주도, 2025년 정착주민을 위한 ..
제주특별자치도와 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는 정착주민의 정신건강 증진과 자살예방 인식 ..
TV 특집 프로그램
기획기사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세종시의 상업 시설들이 줄줄이 폐업하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바로 앞에 위치한 4성급 B 호텔은 25일까지..













.jpeg)


본 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노연로 42, 802호(노형동, 정한오피스텔) Tel: 064-745-9933, Fax: 064-744-99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