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브랜드 '로보락', 올 상반기 국내 로봇청소기 시장 독주
삼성전자와 LG전자, 각각 '비스포크 AI 스팀'과 진공·물걸레 청소 기능을 갖춘 로봇청소기 선보일 예정 [양동익 기자 2024-07-30 오전 11:09:12 화요일] a01024100247@gmail.com
글로벌 로봇청소기 시장을 장악한 중국 브랜드 '로보락'이 올 상반기 국내 시장에서도 독주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GfK에 따르면 로보락은 올 상반기 매출액 1420억 원을 기록하며 국내 로봇청소기 시장에서 46.5%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했다. 특히 대당 150만 원이 넘는 고가 로봇청소기 시장에서는 65.7%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유투브 https://www.youtube.com/watch?v=uDIOtR9bz_8&t=5s

로보락은 2022년부터 3년째 국내 로봇청소기 시장에서 선두를 지키고 있다. 지난해 연간 매출 2000억 원, 시장점유율 35.5%를 기록한 데 이어 올해는 시장점유율을 10%포인트 이상 늘렸다.
로보락 등 중국 브랜드들은 성능을 앞세워 국내 시장을 공략했다. 특히 청소기와 물걸레 기능을 합친 일체형 로봇청소기 모델이 큰 관심을 받았다. 지난 4월 출시한 '로보락 S8 맥스V 울트라'가 매출 증가를 이끌었다.
이 제품은 강력한 진공·물청소 기능과 플렉시암 사이드 브러시, 자동 물 교체 '직배수 스테이션'을 탑재했다. 로보락은 올해 고객서비스(CS)를 한층 강화해 352곳의 현장 수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로보락은 'S8 맥스V 울트라'보다 가격이 낮은 '큐레보 프로' 모델을 추가로 공개해 소비자층 확대에 주력했다.
또 다른 중국 브랜드 드리미는 지난 6월 신규 로봇청소기 'X40 울트라'를 출시해 네이버 쇼핑라이브 채널에서 13분 만에 완판되는 기록을 세웠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중국 기업에 내준 시장을 되찾기 위해 각각 '비스포크 AI 스팀'과 진공·물걸레 청소 기능을 갖춘 로봇청소기를 선보일 예정이다.
김서영 로보락 한국마케팅총괄은 "소비자들의 많은 관심과 성원으로 3년 연속 판매 1위를 기록했다"며 "앞으로도 혁신적인 기술력과 안정성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청소 경험을 제공하는 제품을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TV코리아 (http://sisatvkorea.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 / 인천·경기 / 강원 / 충남 / 충북 / 전남 / 전북 / 영남(본부) / 제주 뉴스HOT
-
제주도 제주외항 2단계 잡화부두 개발..
제주특별자치도는 총사업비 632억원 규모의 제주외항 2단계 잡화부두 개발사업이 ..
-
2035 제주 탄소중립 협의체 24일..
대한민국 최초의 탄소중립 섬을 향한 ‘2035 제주 탄소중립 협의체’가 24일 ..
-
제주도 제32회 한일해협 연안 시도현..
제주에서 8년 만에 한국과 일본 8개 지역이 참여하는 수산 분야 국제 교류회의가..
-
제17회 추자도 참굴비 대축제 열려
제주의 대표 수산물 참굴비의 맛과 우수성을 널리 알리는 ‘제17회 추자도 참굴비..
-
제주도 2025 인베스트 코리아 서밋..
제주특별자치도는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와 함께 오는 29일부터 31일까..
-
제주도 인공지능 양성 '2025 제주..
제주특별자치도는 제주의 미래 신산업을 선도할 인공지능(AI)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
제주도-뉴욕한인회와 글로벌 협력 네트..
제주특별자치도가 미국 동부 50만 한인을 대표하는 뉴욕한인회와 손잡고 경제·관광..
-
제주도 산불재난 예방 및 신속 대응을..
제주특별자치도가 가을철 산불조심기간인 10월 20일부터 12월 15일까지 산불방..
-
제 46회 김만덕상에 송금순씨 수상
제 46회 김만덕상에 26년간 재난구호와 사회봉사로 나눔을 실천해 온 송금순 씨..
-
제주도 2025년 지진안전주간 운영
제주특별자치도는 도민의 지진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해 오는 20일부터 26일까지 ..
-
제주도-김만덕재단 '김만덕기념관 개관..
제주도와 김만덕재단은 17일 김만덕기념관에서 ‘김만덕기념관 개관 10주년 기념행..
-
제주-칭다오 간 신규항로 개설 기념 ..
제주특별자치도는 18일 오후 2시 제주항 국제여객터미널 1층 출국장에서 ‘제주-..
-
제주도 마늘 양파 기계화 우수모델 육..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원장 고상환)은 마늘·양파 재배 전 과정의 기계화 확산..
-
제주도 중국 칭다오간 신규항로 개설
?제주특별자치도는 15일부터 16일까지 오영훈 지사를 비롯한 방문단이 중국 칭다..
-
제주 친환경농산물 한마당 행사 열어
제주특별자치도는 18일 오전 11시 제주시민복지타운 내 시청사부지에서 ‘제주 친..
TV 특집 프로그램
기획기사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세종시의 상업 시설들이 줄줄이 폐업하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바로 앞에 위치한 4성급 B 호텔은 25일까지..













.jpeg)


본 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노연로 42, 802호(노형동, 정한오피스텔) Tel: 064-745-9933, Fax: 064-744-99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