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중국發 관광시장 회복에 나서...
중국 국가여유연구원 , 베이징 소재 여행사, 협회 등 방문 [이경민 기자 2019-12-10 오후 6:22:11 화요일] rudals1758@gmail.com
제주가 중국 관광시장의 정상화를 위한 본격 행보에 나섰다.
제주특별자치도는 관광국장(강영돈)을 중심으로 한 중국 방문단(제주도, 제주컨벤션뷰로)을 구성해, 중국국책연구기관인 중국여유연구원, 베이징의 주요 여행사, 중국여행사협회 등을 방문하고, 중국 관광시장 회복과 인센티브 투어 활성화를 위한 협의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방문을 통해 중국 여행사 및 주요기관의 제주에 대한 관심을 이끌어냈고, 논의된 다양한 방안은 2020년 마케팅 전략에 도입할 방침이다.
제주도는 중국 문화관광부 직속연구기관인 중국여유연구원(원장 따이빈)과 1542개 회원사를 보유하고 있는 중국여행사협회(비서장 쑨꿰이쩐)을 잇따라 방문해 향후 제주 관광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협력을 구축하였다.
중국 측은 “최근 여행이 일상화되어 특별한 경험을 원하는 개별관광객이 많아지고 있다”며, “이런 고객의 니즈를 반영한 관광 상품 개발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중국여유연구원 측과는 중국 인센티브 관광을 유치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집중적인 논의를 진행하였다. 중국여유연구원은 중국의 관광동향 분석을 통해 제주가 중국 인센티브 투어 유치를 추진하는데 필요한 자료와 유용한 조언을 제공하는데 적극 협력하겠다고 하며 지속적인 교류활동을 제언하였다.
중국여행사협회 측과는 협회의 각종 행사에 제주가 참여하여 홍보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도록 합의하였다. 또한 오는 12월 20일에 중국 창사에서 개최되는 중국여행사협회 MICE 분과 연례총회에 제주가 참석해 중국 아웃바운드 전문 여행사들을 대상으로 제주 마이스 지원제도를 홍보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것에도 합의했다.
제주도는 베이징 소재 강휘여행사 총재 및 중국청년여행사(CYTS)부총재 등 주요 책임자들과의 면담을 통해 제주를 적극 홍보했다. 특히 증가된 항공노선과 무사증 정책을 앞세워 제주에 대한 관심을 다시 한 번 끌어내는데 성공했다. 또한 중국 주요도시에서 3시간 이내면 도착할 수 있는 장점과 빼어난 자연환경을 활용한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 등 3박 4일 일정의 인센티브 투어 최적지임을 집중 강조했다.
면담을 가진 여행사 대표자는 “제주에 대한 관심은 항상 가지고 있다. 무사증, 짧은 항공거리, 그리고 제주에서만 볼 수 있는 관광자원과 체험활동은 언제나 매력적”이라며 “개별 관광객은 물론 기업을 대상으로 인센티브 투어 목적지로 적극적으로 제주를 판매할 것”이라는 긍정적인 응답을 얻어내기도 했다.
한편, 제주 방문 중국 관광객은 사드사태 이후 감소세를 보이다 지난 해 4월부터 전년 동기대비 증가세로 전환되어, 올해 9월 기준 중국 관광객은 779,533명으로 전년 전체 입도 중국 관광객 수 666,120명을 넘어섰다.
또한, 제주에 방문하는 인센티브 관광객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올해 11월까지 제주를 방문한 중국 인센티브 관광 건수가 작년보다 2배 가까이 늘었고, 인원수도 10배 이상 증가하였다.
<저작권자 ⓒ 시사TV코리아 (http://sisatvkorea.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 / 인천·경기 / 강원 / 충남 / 충북 / 전남 / 전북 / 영남(본부) / 제주 뉴스HOT
-
제주도 2025년 베스트 착한가격업소..
제주특별자치도는 도내 최초로 ‘2025년 베스트 착한가격업소’ 15개소를 선정하..
-
2025 제1회 제주컵 국제요트대회 ..
제주특별자치도가 처음으로 ‘제주컵’국제요트대회를 연다. 중국?일본?미국?러시아 ..
-
제주도 불턱 토크쇼 프로그램 운영
제주특별자치도 해녀박물관은 11월 문화가 있는 날에 특별전시와 연계해 현직 해녀..
-
[특집] 구좌.우도면의 원성현 202..
특집, 2026년 지방선거 핫 이슈 지역의, 출마 후보를 만나는 시간, 구좌.우..
-
제주도 지난 19일 퀸제누비아2호 좌..
제주특별자치도는 지난 19일 밤 전남 신안군 해상에서 발생한 퀸제누비아2호 좌초..
-
제주도 제9기 남북교류협력위원회 제2..
제주특별자치도가 한반도 평화 분위기 조성을 위한 지방정부 차원의 남북교류협력사업..
-
제주중앙여고, 제 18회 전국 학교 ..
제주중앙여자고등학교(교장 홍성현)는 지난 14일(금)부터 17일(월)까지 세종특..
-
제주세계유산본부, '한라산 구석구석'..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 한라산국립공원관리소(소장 홍승지)가 21일 영실탐방로..
-
제주농업기술원 2025년 제주특별자치..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원장 고상환)은 ‘2025년 제주특별자치도 농업인상’ ..
-
제주도 로컬브랜드 페어 2025 어워..
제주특별자치도가 ‘로컬브랜드 페어 2025’의 ‘로컬브랜드 어워즈’에서 올해 신..
-
제주도 2025 지금, 제주여행-겨울..
제주특별자치도가 21일부터 다음달 7일까지 17일간 겨울의 정취를 담은 ‘202..
-
대한민국 관광도로 1호 구좌 숨비해안..
제주시는 16일 국토교통부가 처음 시행한 대한민국 관광도로 1호로 ‘구좌 숨비해..
-
제주도 건축조례 개정 추진
제주특별자치도는 건축경기 회복과 주거공급 효율성 제고를 위해 건축조례 개정을 추..
-
2025 제주국제청년포럼 개최
제주특별자치도와 유엔훈련조사연구소(UNITAR) 제주국제연수센터는 14일부터 1..
-
제주도 하반기 로컬브랜드 활성화 대상..
제주특별자치도는 13일 경제통상진흥원에서 ‘하반기 로컬브랜드 활성화’ 지원업소를..
TV 특집 프로그램
기획기사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세종시의 상업 시설들이 줄줄이 폐업하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바로 앞에 위치한 4성급 B 호텔은 25일까지..













.jpeg)


본 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노연로 42, 802호(노형동, 정한오피스텔) Tel: 064-745-9933, Fax: 064-744-99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