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 "3000억 원 전투기 유지로는 한계"…저비용 전투체계 필요
KF-21 '보라매'를 진화시켜 '유무인 복합체계' 공중전투 모델 개발 [양동익 기자 2024-07-30 오전 9:32:52 화요일] a01024100247@gmail.com
지난 23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국방 무인체계 현재와 미래, 육·해·공 무인체계 발전방향 세미나'에서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미래전 대응을 위한 '차세대 공중 전투체계(NACS)' 개발 방안을 발표했다. KAI의 조해영 미래비행체연구실장은 "지속 가능한 저비용 전투 체계를 확보하는 것이 미래전의 지향점"이라고 강조했다.
유투브 https://www.youtube.com/watch?v=t_2CkkeUyf8
KAI는 KF-21 '보라매'를 진화시켜 '유무인 복합체계' 공중전투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NACS-1 단계에서는 KF-21에 '유·무인 복합 데이터 링크'를 적용하고, 다목적 무인기(AAP)와 함께 운용할 계획이다. 다목적 무인기는 전장 3.1m, 폭 2.2m, 150kg 중량에 최대 속도 마하 0.6의 성능을 가질 예정이며, 내년 초도비행이 전망된다.
NACS-2 단계에서는 AAP와 무인 전투기(UCAV), 위성이 함께 연결돼 운용될 예정이다. UCAV는 전장 12.2m, 폭 9.6m, 마하 0.9의 속도로 날 수 있으며, 중량은 9730kg에 달한다. NACS-3 단계에서는 KF-21의 성능개량 버전인 'KF-21EX'를 활용해 스텔스 성능을 향상시킬 계획이다.
KAI는 'AI 파일럿' 기술을 적용한 실제 기체를 만들어 실증 비행을 계획하고 있으며, 내년 다목적 무인기의 실기체로 실증을, 2027년에는 유인 전투기 및 무인기에 AI 파일럿 기술을 적용해 시험할 계획이다. NACS가 실현되면 다목적 무인기가 적 방공망을 무력화하고, 무인 전투기가 남은 방공망을 공격하며, 유인 전투기가 마무리하는 형태로 진행될 전망이다.
NACS 프로젝트는 장기 계획으로, NACS-1 상용화 목표 시점은 2030년이다. 김민석 한국국방안보포럼 연구위원은 "KAI가 2030년대 말까지 다목적 소형 무인기와 무인전투기를 완성할 것으로 보고 있지만, 국방과학연구원(ADD) 등과 계획을 더 조율해야 한다"고 말했다.
KAI는 장기적으로 무·무인 복합체계도 필요하다고 보고 있으며, 조 실장은 "미래전에서 무인기가 또 다른 무인기를 싣고 연계해 작전하는 체계가 필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시사TV코리아 (http://sisatvkorea.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 / 인천·경기 / 강원 / 충남 / 충북 / 전남 / 전북 / 영남(본부) / 제주 뉴스HOT
-
제주도립미술관 5월 5일 원데이클래스..
제주특별자치도 도립미술관(관장 이종후)이 어린이날을 맞아 5월 5일 원데이클래스..
-
제주도 소소뱅크와 금융서비스 시범적 ..
제주특별자치도는 소상공인의 금융부담 완화를 위해 소소뱅크 준비위원회와 협력해 혁..
-
제주도 2025 싱가포르 바이어 초청..
제주특별자치도는 싱가포르 제주사무소 개소 2주년을 맞아 ‘2025 싱가포르 바이..
-
제주도 2025년 청년마을 만들기 최..
제주특별자치도는 행정안전부 주관 2025년 청년마을 만들기 공모사업에 청년기업 ..
-
제주도 민간 다중이용시설 안전관리 강..
제주특별자치도는 오는 5월 2일 오후 2시 제주도 농어업인회관 대강당에서 ‘민간..
-
제주도 도내 수출업체 20개사 모집
제주특별자치도는 싱가포르 제주사무소 개소 2주년을 맞아 ‘2025 싱가포르 바이..
-
제주도 2026년 읍면동 지역균형발전..
제주특별자치도가 10억 원 규모의 ‘2026년 읍면동 지역균형발전사업’ 공모를 ..
-
2025 제주마 입목 문화축제 개막
제주의 전통 목축문화 ‘입목’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2025 제주마 입목 문화..
-
제주도 사무관 연구 지도관 승진 32..
제주특별자치도는 14일 사무관, 연구?지도관 승진 의결자 32명을 승진 임용하고..
-
제주도 '제주 도시숲 조성'에 참여할..
제주특별자치도는 탄소흡수원 확충과 기후위기 공동 대응을 위한 ‘제주 도시숲 조성..
-
제주도 세계유산본부 첫 민관협력 환경..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본부장 고종석)가 17일 수월봉 지질트레일 일원에서 ..
-
제주도 2025년 수산종자 매입방류 ..
제주특별자치도가 마을어장 자원조성과 어업인 소득증대를 위해 도내 86개 어촌계를..
-
2025년 제주바다 플로깅 실행계획 ..
제주특별자치도는 도민과 관광객, 환경단체 등이 함께 참여하는 ‘2025년 제주바..
-
제9기 제주특별자치도 사회협약위원회 ..
제주도민의 권익증진과 지역사회 갈등 해결을 위한 ‘제9기 제주특별자치도 사회협약..
-
제주도-중국과 자매결연 30주년 기념..
제주특별자치도가 중국 하이난성과의 자매결연 30주년을 기념하고 쓰촨성과의 새로운..
TV 특집 프로그램
기획기사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세종시의 상업 시설들이 줄줄이 폐업하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바로 앞에 위치한 4성급 B 호텔은 25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