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단 비상대책위원장, 전공의협의회가 요구하는 안 정부수용하면 돌아갈 의향 있어
대한전공의협의회 긴급 임시대의원 총회 열어 의대 증원 계획 전면 백지화 등 7가지 안 정부 요구 [추현주 기자 2024-02-22 오후 3:39:42 목요일] wiz2024@empas.com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은 전공의협의회가 요구하는 안을 정부가 어느 정도 수용하면 병원에 돌아갈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박단 비대위원장은 오늘(22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저희가 요구하는 안들에 대해 어느 정도 정부가 수용을 한다면 저희는 언제든지 병원에 돌아갈 의향들이 다 있다"며 "정부가 오히려 빨리 결정을 내려서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대전협은 지난 20일 긴급 임시대의원 총회를 열고 의대 증원 계획 전면 백지화, 과학적인 의사수급 추계 위한 기구 설치, 수련병원 전문의 인력 채용 확대 등 7가지 안을 정부에 요구했다.
박 위원장은 정부가 전공의들에게 업무개시 명령 등을 내리고 있는 것과 관련해서는 "정부의 강압적인 탄압들 때문에 대화의 여지들이 많이 없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은 이어 "(정부가) 갑자기 정책들을 발표했고 이걸 따르지 않으니까 다른 해결 방법, 목소리를 낼 수 있는 방법은 전혀 없다 보니까 대부분의 전공의들이 누군가 지금 주도하거나 이런 상황이 전혀 아니다"면서 "하나하나에 분노하고 좌절하고 이렇게는 못하겠다라고 해서 병원을 다 뛰쳐나오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2천 명 의대 증원에 대해서는 "숫자에 대한 근거가 납득이 안 된다"면서 "전공의들이 싼 인력이고 근로시간이 주 80시간 이상 넘어가다 보니까 이런 사람들을 늘려서 병원을 더 싸게 운영하려고 하는 것은 아닌가 우려가 있다"고 설명했다.
또, "2천 명 이런 숫자에 대해서 의료현안협의체에서 논의한 적이 없다"면서 "정부가 갑자기 2천 명을 협의할 수 없고 너네는 그냥 따라와야 된다는 스탠스(자세)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저희는 아무리 목소리를 내도 정부가 듣고 있지 않다라고 판단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필수의료 대책에 대해서는 "필수의료 분야의 전공의 지원이 대체적으로 왜 미달인가를 먼저 생각해봐야 된다"면서 "수가 문제, 근로 환경에 대한 문제들을 먼저 해결하지 않으면 의사 수를 단순히 늘린다고만 해서 인턴, 의대생들이 필수의료 영역을 선택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은 또 "2월 1일 나온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에는 논의하지 않았던 내용들도 갑자기 담긴 것들이 많았는데 구체적인 내용이 없고 재정에 대한 내용들이 거의 없다"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 시사TV코리아 (http://sisatvkorea.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 / 인천·경기 / 강원 / 충남 / 충북 / 전남 / 전북 / 영남(본부) / 제주 뉴스HOT
-
제주도 제주관광산업 관계자들과 간담회..
제주특별자치도가 관광산업의 핵심 축인 도내 5성 호텔과 카지노 업계 대표자들과 ..
-
제주도-아쿠아플라넷 제주 '제주해녀의..
제주특별자치도와 아쿠아플라넷 제주는 오는 28일부터 내년 3월 27일까지 1년간..
-
제주도 축산생명연구원 '수정란 생산..
제주 축산생명연구원은 농협경제지주 한우개량사업소, 지역축협과 3개 기관 간 협업..
-
제주해녀박물관 '해녀불턱 토크쇼' 개최
제주특별자치도 해녀박물관은 3월부터 11월까지 매월 마지막 주 수요일 ‘문화가 ..
-
제주도립 김창열미술관 '미술관 정원이..
제주도립 김창열미술관은 4월 2일 수요일 오후 1시부터 3시까지 미술관 다목적스..
-
제주도 산불 피해지역 지원 및 탄소중..
제주특별자치도가 전국 산불 피해지역에 대한 지원책을 마련하는 한편, 세미 맹그로..
-
제주도 제주 근현대사 자료 공개 구입
제주특별자치도 민속자연사박물관은 오는 4월 28일까지 제주 근현대사를 엿볼 수 ..
-
제주도 신협 제주연수원 개원식 개최
제주특별자치도는 19일 제주투자진흥지구 내 신협 제주연수원에서 개원식을 개최했다..
-
제주도 도내 어촌 현장 릴레이 간담회..
제주특별자치도는 18일부터 4월까지 도내 7개 수협을 순회하며 어업인 의견을 수..
-
제주도 건강주치의 제도 구체적 운영 ..
제주도는 24일 오후 2시 제주웰컴센터에서 도민 공청회를 개최하고 오는 7월 시..
-
제주농업기술센터 'K- 디저트 스타트..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 제주농업기술센터(소장 문선희)는 식품시장의 최신 트렌드..
-
2025년도 제주현대미술관 작품 수집..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현대미술관이 미술관 특화 컬렉션 구축과 동시대 현대미술 연구의..
-
제주도 수출기업 경쟁력 높이기 위한..
제주특별자치도가 글로벌 무역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수출기업의 경쟁력을 ..
-
제주도 한라산 백록담 재개방
제주특별자치도 한라산국립공원관리소는 지난 1월 27일부터 통제했던 한라산 백록담..
-
제주도 수출기업 경쟁력 향상 위한 종..
제주특별자치도가 글로벌 무역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수출기업의 경쟁력을 ..
TV 특집 프로그램
기획기사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세종시의 상업 시설들이 줄줄이 폐업하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바로 앞에 위치한 4성급 B 호텔은 25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