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 중립 시대, 친환경 건축물의 허상과 대안
탄소 중립 시대, 친환경 건축물의 진정한 의미와 대안을 고민 [양동익 기자 2024-07-28 오후 1:37:26 일요일] a01024100247@gmail.com
탄소 중립이란 배출한 이산화탄소만큼 흡수해 순 배출량을 '0'으로 만들자는 의미다. 기후 변화로 인해 탄소 중립은 최우선 과제가 됐다. 그러나 한국의 초록이 '녹'슬고 있다는 우려가 있다. CBS노컷뉴스는 '독이 된 녹색, 친환경의 배신: 숲이 위험하다' 연재를 통해 국내 산림 정책을 팩트체크하고 보도한다.
유투브 https://www.youtube.com/watch?v=x69XnE3e9iw
서울 강남구 청담동의 한 고급 주택은 2,500여 그루의 나무와 식물을 심어 수직 숲을 조성했다며 '친환경 건축물'을 자처한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단순히 나무를 심는 것만으로는 친환경 건축물이라 할 수 없다고 지적한다. 오스트리아 건축가 올리버 스터는 "(건물에 나무를 심는 건) 기후 변화 적응일 뿐, 환경 친화적이라고 할 수 없다"고 말했다. 김철기 국립산림과학원 임업연구사도 "공기질 향상 등 이점은 있지만, 건축물 자체가 친환경이라는 지표에는 들어가지 않는다"고 밝혔다.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탄소 흡수 방법은 산림경영, 신규조림, 재조림, 목재 사용 등이 있으며, 단순히 건물에 나무를 심는 것은 포함되지 않는다.
전문가들은 목재를 지구 친화적인 방식으로 주목한다. 나무는 태우지 않는 한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며, 목재 제품은 이산화탄소를 몸체 속에 고정하고 있어 온실가스 감축 실적이 된다. 국립산림과학원 정한섭 임업연구사는 "IPCC 기준상 목재는 수확되면 탄소가 방출된 것으로 산정되기 때문에 이후 추가 산정은 없다"고 설명했다.
목재를 장수명 이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목조 건축물을 꼽는다. 콘크리트 건물에 나무를 심는 것이 아니라 건물 자체를 나무로 짓는 것이 지구 친화적이고, 상당한 양의 탄소 감축분을 인정받을 수 있다. 올리버 스터는 "철, 콘크리트, 유리로 건물을 만들 경우 상당히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고 설명했다.
한국도 '향후 조성하는 건축물의 목조건축화'를 선언하며 공공 지원사업을 조성해 목조 건축의 우수성을 홍보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한그린목조관 준공 이후 국내 목조 건축 대중화 속도는 더딘 편이다.
탄소 중립 시대, 친환경 건축물의 진정한 의미와 대안을 고민해야 할 때다. '환경을 생각합니다'라는 구호만으로는 부족하다. 실질적인 탄소 저감과 환경 보호를 위한 진정한 노력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시사TV코리아 (http://sisatvkorea.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 / 인천·경기 / 강원 / 충남 / 충북 / 전남 / 전북 / 영남(본부) / 제주 뉴스HOT
-
제주도 봄철 산불대비 점검회의 개최
제주특별자치도는 최근 전국적인 산불 발생과 연일 건조한 날씨에 대응하기 위해 유..
-
제주도 제주관광산업 관계자들과 간담회..
제주특별자치도가 관광산업의 핵심 축인 도내 5성 호텔과 카지노 업계 대표자들과 ..
-
제주도-아쿠아플라넷 제주 '제주해녀의..
제주특별자치도와 아쿠아플라넷 제주는 오는 28일부터 내년 3월 27일까지 1년간..
-
제주도 축산생명연구원 '수정란 생산..
제주 축산생명연구원은 농협경제지주 한우개량사업소, 지역축협과 3개 기관 간 협업..
-
제주해녀박물관 '해녀불턱 토크쇼' 개최
제주특별자치도 해녀박물관은 3월부터 11월까지 매월 마지막 주 수요일 ‘문화가 ..
-
제주도립 김창열미술관 '미술관 정원이..
제주도립 김창열미술관은 4월 2일 수요일 오후 1시부터 3시까지 미술관 다목적스..
-
제주도 산불 피해지역 지원 및 탄소중..
제주특별자치도가 전국 산불 피해지역에 대한 지원책을 마련하는 한편, 세미 맹그로..
-
제주도 제주 근현대사 자료 공개 구입
제주특별자치도 민속자연사박물관은 오는 4월 28일까지 제주 근현대사를 엿볼 수 ..
-
제주도 신협 제주연수원 개원식 개최
제주특별자치도는 19일 제주투자진흥지구 내 신협 제주연수원에서 개원식을 개최했다..
-
제주도 도내 어촌 현장 릴레이 간담회..
제주특별자치도는 18일부터 4월까지 도내 7개 수협을 순회하며 어업인 의견을 수..
-
제주도 건강주치의 제도 구체적 운영 ..
제주도는 24일 오후 2시 제주웰컴센터에서 도민 공청회를 개최하고 오는 7월 시..
-
제주농업기술센터 'K- 디저트 스타트..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 제주농업기술센터(소장 문선희)는 식품시장의 최신 트렌드..
-
2025년도 제주현대미술관 작품 수집..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현대미술관이 미술관 특화 컬렉션 구축과 동시대 현대미술 연구의..
-
제주도 수출기업 경쟁력 높이기 위한..
제주특별자치도가 글로벌 무역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수출기업의 경쟁력을 ..
-
제주도 한라산 백록담 재개방
제주특별자치도 한라산국립공원관리소는 지난 1월 27일부터 통제했던 한라산 백록담..
TV 특집 프로그램
기획기사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세종시의 굴욕 세종시의 상업 시설들이 줄줄이 폐업하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바로 앞에 위치한 4성급 B 호텔은 25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