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총리, 세계인이 한국어와 문화를 배울수 있도록 지원하겠다 밝혀

579돌 한글날 경축식에서 한글을 활용한 상품의 개발, 전시, 홍보를 지원하겠다고 밝혀 [추현주 기자 2025-10-09 오후 1:55:18 목요일] wiz2024@empas.com
▲김민석 총리, 세계인이 한국어와 문화를 배울수 있도록 지원하겠다 밝혀

김민석 총리는 오늘(9) 오전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579돌 한글날 경축식축사를 통해 오늘은 세종대왕께서 한글을 반포하신 지 오백일흔아홉 돌이 되는 뜻깊은 날이라며 온 국민과 함께 기쁘고 감사한 마음으로 한글날을 경축한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세계 87개국 세종학당에는 14만 명이 넘는 외국인들이 한국어와 함께 한국의 문화를 배우고 있다한글은 더 이상 우리만의 문자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K-팝의 노랫말로 전 세계 팬들과 연결되고 K-드라마와 영화가 감동을 전하는 데는 우리 말과 글의 섬세하고 풍부한 표현력이 큰 역할을 했다유튜브와 소셜미디어를 통해 한국어를 말하고 한국어를 배워 우리 작품들을 즐기려는 세계 청년들의 모습은 이제 낯설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양한 매체를 통해 바르고 쉬운 우리말 쓰기 문화를 확산하고, 더 많은 세계인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배울 수 있도록 세종학당을 더욱 확대하고 한글을 활용한 상품의 개발, 전시, 홍보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인공지능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 한국어 기반의 언어 정보 자원 구축을 확대하겠다고 덧붙였다.

 

김 총리는 한글은 알면 알수록 그 우수성과 위대함을 새롭게 깨닫게 된다한글은 창제 원리와 시기, 창제자가 분명히 알려진 세계에서 유일한 문자이며 세계의 학자들은 한글을 인류의 가장 빛나는 지적 성취 중 하나로 높게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한글은 백성을 향한 사랑과 포용, 혁신의 정신에서 탄생한 결과물이라며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제 뜻을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아 새로 스물여덟 글자를 만든다고 밝힌 훈민정음 머리글에는 세종대왕의 마음이 잘 담겨 있다고 강조했다.

 

김 총리는 또 민족의 혼이 담긴 한글을 지켜낸 선조들의 발자취도 함께 기억해야 한다이러한 노력으로 한글은 민족의 정신을 지탱하는 버팀목이 됐다고 말했다.

 

인쇄하기